본문 바로가기

서울나란이교정치과

어릴 때 치아교정 했는데 또 재교정 해야 해?

반응형

치아교정 결과가 만족스러웠는데 왜 재교정? 

치아교정은 성장기 아동이나 청소년들만 받을 수 있다고 여기는 분이 있는데요.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물론 성장기에는 세포 활동이 왕성하고 성장을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긴 하지만 성인이 되어서도 충분히 만족스러운 교정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교정 기술이 발달하면서 중장년층의 치아교정도 꾸준히 늘고 있지요.

 

그런데 만족스러운 교정 결과를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재교정을 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합니다. 왜 그럴까요? 물론 과한 교정에 의해 치아가 쓰러진다거나 의료진의 미숙함에 의해 벌어지기도 하지만 많은 경우 유지장치 착용을 소홀히 하는데서 발생합니다. 

 

 

유지장치 착용 소홀히 한 이유

교정 후에는 일정 기간 유지장치를 착용해야 합니다. 치아가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모양을 잡아 주는 것인데요. 고정식 유지장치는 교정장치처럼 치아에 부착해 놓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문제가 생길 확률이 적습니다. 다만 고정식 유지장치는 얇은 철사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단단한 음식이나 끈적거리는 음식을 잘못 먹었을 때 탈락하는 일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때는 방치하지 말고 치과를 찾아 다시 유지 장치를 부착해야 하죠. 

 

 

중장년 치아재교정으로 이어지게 되는 원인

반면에 가철식 유지장치는 환자가 스스로 빼고 끼는 것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변수가 생기고 말죠. 기본적으로 유지장치는 식사나 양치질을 하는 시간을 제외하면 잠을 잘 때까지도 착용하고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불편함과 번거로움 때문에 이를 지키지 않는 환자가 많죠. 특히 중장년층의 경우 사회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보니 사람들을 만난다거나 할 때 유지장치를 빼놓고는 합니다. 더러는 깜빡 하는 경우도 있고요. 이미 교정이 끝났으니 무슨 큰 일이 나겠나 하고 방심하기 쉽고요. 그러나 이것이 반복되면 치아 사이에 공간이 생긴다거나 다시 틀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며 중장년치아재교정으로 이어지고 맙니다.
 

 

치아 재교정을 하지 않으려면

재교정은 이미 교정을 진행한 후 다시 교정을 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무리가 되는데요. 이 때문에 치아의 뿌리가 짧아진다거나 치조골의 흡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게다가 재교정 시에는 추가적인 비용까지 발생합니다. 이처럼 오랜 기간 애를 쓰며 받은 치아교정을 처음부터 다시 받아야 하는 상황이 되어 버리면 무척 허탈할 텐데요. 이런 일이 발생하기 전에 의료진의 권유대로 꾸준히 유지장치를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게다가 중장년치아재교정이 필요한데도 교정 과정이 워낙 까다롭고 불편했기 때문에 재교정은 일단 거부하고 보는 경우도 있는데요. 나이가 들어서까지 건강한 치아를 유지하려면 무조건 피하고 보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어쩔 수없이 재교정을 해야 한다면 이전보다 더욱 철저하게 의료진의 권유를 지켜 치아의 기능과 심미성을 회복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이 될 것입니다. 

 

 

어렸을 때 교정 했다면

치아교정은 나이 들면 불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나이와 관계없이 충분히 시행할 수 있는데요. 교정방법은 나이, 치아교정상태, 부정교합 원인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치아교정과 전문의와 충분히 상담 후 교정치료를 받아야합니다. 특히 어릴 때 교정치료를 받았지만 또 치아가 틀어진다고? 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계신데요. 나이가 들면 치아가 앞쪽으로 쏠리기 때문에 부정교합이 심해지게 됩니다. 또 사람의 얼굴은 45세까지 변한다고 하죠. 치아 위치에 영향을 주는 턱의 위치나 입술도 계속해서 변하기 때문에 재발이 될 수 있으며 이미 어릴 때 받은 분과 받지 않은 분과 비교하면 그 차이는 차이가 있을 수 있어 별도의 치료를 받더라도 그 경도가 다르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치아교정은 연령별로도 다양하게 고려해볼 수 있으니 턱의 부조화나 고르지 못한 치열로 스트레스를 받고 계셨다면 잇몸건강 유지를 위해 보조적으로 치아교정을 알아보는 것은 어떨까요? 

 

 

 

반응형